본문 바로가기

Soft Program

비디오와 오디오 인코딩 및 압축

비디오 및 오디오를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할 때는 파일 크기와 비트 전송률 간의 품질 균형을 맞추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대부분의 형식에서는 압축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품질을 낮춤으로써 파일 크기와 비트 전송률을 줄입니다. 압축은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정 유형의 장치에서 특정 대역폭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 파일을 내보내는 경우 인코더(코덱)를 선택합니다. 인코더들은 저마다 다른 압축 스키마를 사용하여 정보를 압축하며, 저마다 다른 디코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압축 해제 및 해석합니다.
광범위한 코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코덱이 모든 상황에 최적이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만화 애니메이션을 압축하는 데 최적인 코덱은 대개 라이브 액션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압축은 무손실(이미지에서 버려진 데이터가 없는 경우) 압축일 수도 있고 손실(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버린 경우) 압축일 수도 있습니다.

시간 압축 및 공간 압축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할 때 일반적으로 공간 압축 및 시간 압축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합니다. 공간 압축은 주변 프레임과는 별개인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되며, 종종 인트라 프레임 압축이라 불립니다.
시간 압축은 프레임 간 차이점을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저장하므로 프레임들은 이전 프레임과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묘사됩니다. 변경되지 않은 영역은 이전 프레임에서 반복됩니다. 시간 압축을 또한 인터 프레임 압축이라고도 합니다.

프레임 속도

비디오는 화면에 일련의 이미지가 빠른 속도로 표시되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매초마다 나타나는 프레임 수는 프레임 속도라고 하며, 초당 프레임 수(fps)로 측정됩니다. 이 프레임 속도가 높을수록 이미지 시퀀스를 표시하는 데 초당 더 많은 프레임이 사용되어 영상이 보다 자연스러워집니다. 하지만 고화질에서는 프레임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높은 대역폭을 필요로 합니다.

디지털식으로 압축된 비디오의 경우 프레임 속도가 높을수록 파일 크기는 커집니다. 이때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프레임 속도 또는 비트 전송률을 낮춰야 합니다. 프레임 속도는 그대로 두고 비트 전송률을 낮출 경우 이미지 품질이 저하됩니다.

비디오는 기본 프레임 속도(비디오가 처음 녹화될 당시의 프레임 속도)에서 훨씬 더 화질이 좋으므로, Adobe는 전송 채널 및 재생 플랫폼에서 허용하는 한도에서 프레임 속도를 높게 설정해둘 것을 권장합니다. 풀 모션 NTSC 비디오의 경우 29.97fps를 사용하고 PAL 비디오의 경우 25fps를 사용하십시오. 프레임 속도를 낮추면 Adobe Media Encoder에서는 선형 비례 관계에 기반해 프레임을 삭제합니다. 프레임 속도를 줄여야만 하는 경우에는 최선의 결과를 위해 해당 속도를 약수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소스의 프레임 속도가 24fps일 경우 프레임 속도를 12 fps, 8 fps, 6 fps, 4 fps, 3 fps 또는 2 fps로 줄입니다.

모바일 장치의 경우 장치마다 특정 인코딩 사전 설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양한 모바일 장치에 맞는 설정을 확인하려면 Adobe Device Central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Adobe Device Central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evice Central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

참고: 포함된 비디오가 있는 SWF 파일을 만드는 경우 비디오 클립과 SWF 파일의 프레임 속도가 같아야 합니다. SWF 파일 및 포함된 비디오 클립에 다른 프레임 속도를 사용하면 일관되게 재생되지 않습니다.
비트 전송률

비트 전송률(데이터 속도)는 비디오 클립의 품질 및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대역폭 제한이 있는 시청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인터넷으로 비디오를 전송할 경우, 낮은 비트 전송률로 파일을 생성하십시오. 고속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사용자는 대기 시간이 거의 없이 파일을 볼 수 있지만 전화 접속 사용자는 파일이 다운로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전화 접속 사용자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경우 제한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비디오 클립을 짧게 만드십시오.

 

키 프레임

키 프레임은 비디오 클립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된 완전한 비디오 프레임(또는 이미지)입니다. 키 프레임 사이에 있는 프레임들에는 키 프레임 간에 발생하는 변화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키 프레임은 특정 시간의 애니메이션 속성을 정의하는 마커인 키프레임과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Adobe Media Encoder는 비디오 클립의 프레임 속도를 기반으로 사용할 키 프레임 간격(키 프레임 거리)을 자동으로 결정합니다. 키 프레임 거리 값은 인코더에서 비디오 이미지를 재평가하는 횟수 및 전체 프레임 또는 키 프레임을 파일에 기록하는 횟수를 나타냅니다.

영상에 장면 변화가 많거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모션 또는 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키 프레임 거리를 낮출수록 전체 이미지 품질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키 프레임 거리가 짧을수록 출력 파일 크기는 더 커집니다.

키 프레임 거리는 FLV 또는 F4V 파일에서 Flash Player의 검색 기능(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에 영향을 줍니다. Flash Player는 키 프레임 단위로만 이동하므로 다른 위치로 건너 뛰거나 프레임을 일시 중지하려는 경우 낮은 키 프레임 거리 값을 사용하십시오.

키 프레임 거리 값을 줄이는 동시에 유사한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려면 비디오 파일의 비트 전송률을 높여야 합니다.

 

이미지 종횡비 및 프레임 크기

프레임 속도와 더불어, 파일의 프레임 크기는 고품질 비디오를 제작하는 데 중요합니다. 특정 비트 전송률에서 프레임 크기를 늘리면 비디오 품질이 저하됩니다.

이미지 종횡비는 이미지 높이에 대비한 너비 비율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미지 종횡비는 4:3(표준 텔레비전) 및 16:9(와이드스크린 및 HD 텔레비전)입니다.

 

픽셀 종횡비

대부분의 컴퓨터 그래픽은 높이:너비 종횡비가 1:1인 정사각형 픽셀을 사용합니다.

일부 디지털 비디오 형식에서는 픽셀이 정사각형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표준 NTSC 디지털 비디오(DV)의 프레임 크기는 720 x 480픽셀이며, 4:3의 종횡비로 표시됩니다. 즉, 이는 각 픽셀의 종횡비(PAR)가 0.91(좁고 긴 픽셀)인 사각형임을 의미합니다.

 

인터레이스 및 비인터레이스 비디오

인터레이스 비디오는 각 비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필드로 구성됩니다. 각 필드에는 프레임에 있는 가로선 수가 절반씩 포함됩니다. 위쪽 필드(필드 1)에는 모든 홀수 번째 선이 포함되고 아래쪽 필드(필드 2)에는 모든 짝수 번째 선이 포함됩니다. 인터레이스 비디오 모니터(예, 텔레비전)는 먼저 한 필드의 모든 선을 주사한 후에 다른 필드의 모든 선을 주사함으로써 각 프레임을 표시합니다. 필드 순서는 먼저 주사되는 필드를 지정합니다. NTSC 비디오에서는 새 필드가 초당 59.94회로 화면에 주사되는데 이는 29.97fps 프레임 속도에 해당합니다.

비인터레이스 비디오 프레임은 필드로 분리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프로그레시브 스캔 모니터는 모든 가로선을 위에서 아래로 한 번에 주사하여 비인터레이스 비디오 프레임을 표시합니다.

사용자가 인터레이스 소스를 비인터레이스 출력으로 인코딩하도록 선택할 때마다 Adobe Media Encoder는 인코딩 전에 비디오 인터레이스를 제거합니다.

 

자료제공: http://help.adobe.com/ko_KR/mediaencoder/cs/using/WSA711F09A-6FCF-4a62-90DE-6A16BAB2897B.html#WS3B7C074C-798A-4918-836A-183222C47E71

'Soft Pro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deo control - NetStream 및 NetConnection 클래스  (0) 2012.05.15
posting Dimension 산출기  (0) 2012.04.23
[script] setTimeout(), setInterval()  (0) 2011.11.21
movie clip 의 객체  (0) 2011.08.08
절대위치와 상대위치  (0) 2011.07.16